청년 주거 안정은 최근 정부 정책의 핵심 축입니다. 월세·보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다양한 대출 및 지원제도를 운영 중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복잡하게 흩어진 제도들을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1.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2.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3.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대출
4. LH 청년·신혼부부 행복주택
5. 지자체별 청년 주거비 지원
6. 신청 시 주의사항 및 준비서류
1.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정부가 시행 중인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은 월세 부담이 큰 청년에게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지원대상: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 소득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약 월 122만 원 이하)
- 지원금액: 월 20만 원 한도 (최대 12개월)
- 신청장소: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 월세 지원금은 임대인 계좌로 직접 입금되므로 임대차계약서상 임대인 정보가 정확해야 합니다.
2.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청년형)은 보증금이 부담되는 청년층에게 저금리 전세자금을 지원하는 상품입니다.
항목 | 내용 |
---|---|
대상 | 만 19~34세 무주택 단독세대주 |
소득 | 연 5천만 원 이하 |
대출금리 | 연 1.5~2.7% |
대출한도 | 최대 1억 원 |
상환기간 | 2년 (최대 4회 연장, 10년) |
중소기업 재직자는 ‘중소기업청년전세대출’로 금리를 추가 인하받을 수 있습니다.
3.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대출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이라면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해 보세요. 기존 버팀목 대출보다 훨씬 낮은 금리를 제공합니다.
- 대상: 중소기업 재직 청년 (만 19~34세)
- 금리: 연 1.2% 고정 (최대 10년)
- 대출한도: 최대 1억 원
- 상환: 2년 단위 갱신 가능
- 신청처: 주거래은행 또는 주택도시기금 e 든든
✅ ‘청년형 버팀목 대출’에서 ‘중기청 대출’로 전환 가능하며, 기존 대출자의 금리도 자동 인하됩니다.
4. LH 청년·신혼부부 행복주택
LH 행복주택은 시중 임대료보다 최대 30% 이상 저렴하게 공급되는 공공임대입니다. 교통이 편리한 지역, 대학가 주변, 산업단지 인근에 집중 공급됩니다.
- 공급대상: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산업단지 근로자
- 임대료: 주변 시세의 60~80%
- 임대기간: 기본 6년 (신혼부부 최대 10년)
- 신청방법: LH청약센터(apply.lh.or.kr)
2024년 하반기 이후에는 LH가 추진하는 AI 청년특화단지·스마트 임대주택에서도 우선 입주 기회가 주어질 예정입니다.
5. 지자체별 청년 주거비 지원
중앙정부 외에도 각 지역 지자체가 청년 주거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역 | 지원내용 | 비고 |
---|---|---|
서울특별시 | 청년월세지원(월 20만 원, 최대 10개월) | 서울주거포털 신청 |
경기도 | 경기청년주거지원(보증금 이자 최대 100만 원) | 경기도청 신청 |
광주시 | 청년희망월세(최대 15만 원/월) | 청년정책플랫폼 |
부산시 | 청년행복주거비 지원(연 120만 원) | 부산청년플랫폼 |
📍 대부분 지역은 ‘거주지 주민등록 + 실거주’ 요건이 있어 타 지역 주소 등록자는 지원 제외될 수 있습니다.
6. 신청 시 주의사항 및 준비서류
- 주민등록등본 (세대주 기준, 3개월 이내 발급)
- 소득금액증명원 또는 재직증명서
- 임대차계약서 사본
- 통장사본 및 신청서
신청 후 심사기간은 평균 2~4주 정도이며, 보증금 지원형은 임대인 통장으로 직접 입금되는 방식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청년월세지원과 버팀목 대출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다만 동일 임대차계약 기준으로 중복 지원금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Q2. 무직자나 프리랜서도 청년대출이 가능한가요?
소득증빙이 어렵다면 보증보험을 통해 일부 상품은 신청 가능합니다.
Q3. 대출 실행 후 전입신고는 반드시 해야 하나요?
네. 전입신고를 해야 주거지원금 및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청년정책·주거정보 브리핑 | 정부 공시자료 기반 콘텐츠